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작지만 의미 있는 행사

지난 7월 4일, 독립 기념일에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풀러튼의 랄프스 클락 팍에서는 작지만 소중한 독립 기념 축하 행사가 있었다. 주최자는 매일 아침 이곳에 삼삼오오 모여 함께 운동을 하는 사람들. 무슨 조직이 있는 것은 아니고 수년 동안 자발적으로 모여 운동을 한 사람들이다. 단체 체조 시간에는 주변의 타인종들도 자연스럽게 참여하곤 한다.    이날은 체조가 끝난 후 바로 독립 기념일 축하 행사를 했다. 미국 국기에 대한 경례로 시작된 기념식에서 미국을 위한 기도는 6·25 참전 용사인 은퇴 목사가, 기도는 6·25에 참전했던 미군의 부인이 맡았다.    기념식 내내 성조기가 게양됐고 한 운동 멤버의 색소폰 연주에 맞춰 미국 국가도 함께 불렀다. 미국 국가의 가사는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가 독립전쟁 당시 볼티모어 근교에서 벌어졌던 ‘멕헨리 요새 전투’ 현장을 목격하고 지은 것이다. 그는 거대한 영국 군함들이 밤새 퍼부은 함포 사격에도 불구하고 다음날 새벽까지 멕헨리 요새에서 휘날리는 미국 국기를 보고 감격해 ‘멕헨리 요새의 방어전’이란 시를 지었고, 그 시가 가사가 된 것이다.  그리고 곡은 당시 영국에서 널리 불리던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이라는 노래다. 1931년 미국 국가로 공식 지정된 이 노래는 언제 들어도 마음 깊이 울림을 준다.   미국은 독립 당시 13개 주였으나 이후 전쟁과 협상을 통해 지금의 50개 주,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영토를 가진 나라가 됐다.     사회자는 한국어와 영어를 번갈아 사용하여 미국이 그동안 세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음을 설명했고, 특히 6·25 한국 전쟁 때 공산주의로부터 대한민국을 지켰다는 것을 강조했다.     아메리카 대륙은 1492년 콜럼버스가 처음 발견했다. 그는 스페인 왕실의 후원으로 여러 번 이곳을 다녀갔으나 죽을 때까지 인도인 줄 알았다. 그 후 이탈리아 항해가 아메리고 베스푸치가 1503년 항해 중 바람 때문에 지금의 브라질 북부에 도착했다. 그는 도착한 곳이 인도가 아니고 신대륙임을 인지하고 세계에 신대륙 발견을 공표하였다.   4년 뒤 독일인이 세계지도를 제작하면서 신대륙을 아메리카로 부르자고 제안 아메리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이렇게 브라질 북부에서 시작된 아메리카 대륙은 남북으로 계속 새로운 땅이 발견되면서 확장됐다.   기념식은 여러 사람이 준비해 온 조찬행사로 이어졌다. 타인종 참석자들은 푸짐한 음식에 감사했다. 이렇게 일상에서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기회가 많아지면 이해와 공감의 폭도 넓어질 것 같아  그날 행사가 더 귀하게 생각됐다.   최성규 / 베스트 영어 훈련원장열린광장 의미 행사 신대륙 발견 그날 행사 아메리카 대륙

2023-07-18

[기고] ‘시간의 다리’를 건너며

 ‘오늘’은 어제에서 내일로 연결해 주는 ‘다리(Time Bridge)’이다. 어제는 역사의 다리를 건너 왔고, 오늘은 선물 받은 다리를 건너가는 중이며, 내일은 어떤 다리를 건널지 알 수 없다.     영원으로 흐르는 강물 위에 놓인 ‘시간의 다리’, 그 위를 달리는 열차 ‘2021호’에 탑승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2번째 마지막 역을 지났다. 다음 역은 ‘2022호’열차가 기다리는 환승역이다.     환승역은 늘 긴장과 설레임이 공존하는 곳이다. 갈아 타야 할 공간과 시간을 확인해야 하고, 함께 여행할 승객과 환경이 낯설고 새롭기 때문이다.     환승역은 채널과 채널이 교차하고, 사람과 사람이 교차하고, 세상의 모든 정보가 교차하는 곳이기도 하다.     아메리카 땅에 인류가 살기 시작한 것은 1만2000년 전쯤으로 추정한다. 빙하시대에 해수면이 낮았을 때 베링 해협은 즉 동시베리아와 서알래스카 사이는 얼음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자연이 만든 육교(陸橋: Bering Land Bridge)였고, 이 육교로 이동했던 동물들의 흔적이 종종 발견된다.   동아시아의 몽골 제국은 대부분 유목민이었다. 이들은 먹잇감(동물사냥)을 따라 이동하다가 이 육교를 건넜고 아메리카 땅의 원주민이 됐다.     이들을 ‘팔레오 인디언(Paleo-Indian)’이라 부른다. ‘Paleo’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고대(Old)라는 뜻이며, ‘Indian’은 인도인을 뜻한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인도로 착각하고 원주민을 인디언이라 불렀지만, 사실은 우리와 조상이 같은 몽고반점이 있는 몽골리안이다.     ‘베링 육교’를 다른 이름으로 ‘베링기어(Beringia)’라고도 부른다. 덴마크 출신의 항해사이자 탐험가인 ‘비투스 베링(Vitus Bering)’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베링기어는 빙하시대에만 존재했던 과거의 다리였고 지금은 전설로 남은 다리인 셈이다.     베링 해협은 폭 85km, 수심 30~50m 로 태평양과 북해를 연결해 주는 통로이다. 날짜변경선이 해협 중앙에 수직으로 그어져서, 동방과 서방의 시간을 가르는 경계선으로 타임 브리지의 상징이기도 하다.     샌프란시스코와 마린 카운티을 잇는 금문교(Golden Gate Bridge)가 인간이 만든 금세기 가장 위대한 다리라면 ‘베링기어’는 신이 만든 아시아와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가장 위대한 다리였을 것이다.       새해가 가까워지면 누구나 꿈과 목표를 세운다. 목표가 정해지면 그 목표에 어떻게 도달할 것인가를 고민한다.     해답은 간단하다. 목표를 향해 브리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 각자는 자신의 다리를 건설하며 그 다리를 건너간다. 다리를 건설해 가는 과정이 곧 삶이다.     인생은 내일을 기대하며 오늘을 산다. 내일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오늘의 다리를 건설한다.   교량을 설계하는 엔지니어에겐 기본 철학이 있다. 그것은 “최악의 조건에 대비하면, 최선의 결과를 얻게 된다(Plan for the worst, hope for the best)”는 철칙이다. 최악의 재난이 닥쳐도 기초를 튼튼한 설계로 건설하면 무너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이 들수록 과거에 자신이 걸어 온 경험과 지식을 자랑하며 산다. 젊은 세대의 생각과 방식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자기 고집과 자기 도취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너와 나, 그들과 우리, 구세대와 신세대간의 관계는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     세대간의, 이념간의, 인종간의 단절된 벽을 허물고, 불통을 소통으로 뚫어주는 ‘관계의 다리’가 절실하다.   ‘2022호’ 열차가 기다리는 환승역이 가까워 온다. 내리기 전 주변 정리 정돈을 깨끗이 할 때가 됐다. 옷도 여미고, 가방, 백신접종 증명서, 여권과 승차권도 챙겨야 한다.  ‘2022호’ 새 열차에서는 이웃과 더 친밀한 관계를 건설하며 ‘시간의 다리’를 건너야겠다. 이보영 / 전 한진해운 미주본부장기고 시간 다리 베링 육교 아메리카 대륙 베링 해협

2021-12-15

[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아메리카 원주민(1)

미국은 13년 전 오늘,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추수감사절 다음 날을 ‘아메리카 원주민 유산의 날’(The Native American Heritage Day)로 제정하였다. 특히 공립 초•중학교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 업적에 중점을 둔 교육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금년은 다음 주 11월 26일이다. 그러나 매번 추수감사절 바로 다음날 모든 상점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의 날’이 겹치는 이날에 아직도 “블랙 프라이데이”라는 상술로 계속 상점에서 대폭 할인행사 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다. 아마 많은 유학생들은 경험하였음직하다. 이날은 새벽, 아니 그 전날 추수감사절 음식을 먹자마자 전자제품을 파는 대형 상점 앞에 미국인들과 함께 텐트를 친 기억이 날 것이다. 미국은 바로 이날이 젊은이들에게는 광란의 날이다.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이날은 탐욕으로 얼룩진 공격적 자본주의에 의한 계속된 식민주의 행동이라는 것이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는 약 1만 5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시베리아 동쪽에 살던 사람들이 현재 알래스카라고 불리는 곳으로 이주해 살기 시작했다. 대부분 몽고인으로 추정되는 이 초기 이주자들이야말로 진정으로 최초의 아메리카인이다.   콜럼버스 이전의 아메리카 대륙의 인구는 학자들마다 큰 차이가 있는데 천만명부터 인류학자인 헨리 도빈스(Henry Dobyns)은 심지어 1억 명까지 살았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하여튼 유럽인들이 아메리카를 발견하기 전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문명사회를 이루고 살았으며 특히 남아메리카는 더욱 그러하였다.   북아메리카는 부족들 상당수가 공통적 언어 기원으로 느슨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캐나다에서 버지니아에 이르는 대서양 연안을 따라 살던 알곤 퀸(Algonquin) 부족, 현재 뉴욕 북부가 중심이던 이로쿼이 연맹(Iroquois Confederacy), 동부 연안 최남단 지역의 부족들로 이루어진 무스코비안(Muskogean) 부족이 이 언어 군으로 가장 큰 집단을 구성하고 있었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것은 아메리카뿐만 아니라 극동인 한국에까지 영향이 미칠 정도로 지구 전체에 대변혁을 불러왔다. 따라서 세계사는 약 500년 전부터를 신 세계사로 불릴 정도로 전혀 다른 문명과 혼란의 연속을 가져왔다. 유럽 국가들이 해양을 통해 동쪽을 향한 극동 지역까지의 진출 시작과 더불어 서쪽을 향한 아메리카의 진출은 오늘날의 세계 각국의 모습과 충격적인 문명을 갖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미국은 1776년 독립을 하였지만 독립 당시와 그 후의 역사는 그야말로 처절한 전쟁의 역사였다. 전쟁 당사국은 현재의 미국이 된 당시 영국의 식민지 연합과 그들을 통치하던 대영제국, 그리고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마지막으로 유럽이 인디언이라고 부르는 아메리카 원주민, 모두 6개국이 온통 어울려 때로는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로 이합집산 식으로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편을 갈라 북아메리카에서 유럽보다 더 기름진 땅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 그 가운데 인디언은 물론 단일 국가가 아니라 부족 체제였지만 자기 영토 내에 백인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해 어떤 부족은 영국과 한편으로, 어떤 부족은 프랑스의 나폴레옹과, 또는 스페인과 한편으로 동맹을 맺어 당시 유럽에서 건너온 백인 정착민들과 전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미국은 이 아수라장 같은 전쟁에서 승리하여 1776년 독립을 기점으로 명칭이 United Colonies(연합 식민지)에서 현재의 United States(연합 정부)로 바뀌었다. (hanprise@gmail.com)  (계속) 한홍기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아메리카 원주민 아메리카 원주민 아메리카 대륙 역사 업적

2021-1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